치성광 여래 강림도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2&cp_code=cp0302&index_id=cp03020008&content_id=cp030200080001&search_left_menu=









http://www.chpri.org/board/content.asp?bCat=%B9%AE%C8%AD%C0%AF%BB%EA%B1%E2%BB%E7&bCode=354&page=271&sColumn=&sText=

 제목 :
"보스턴박물관 소장 고려불화는 천문도"
 이름 :
연합뉴스 Read: 581    Date: 2003.10.08
"보스턴박물관 소장 고려불화는 천문도"


조선조 '치성광불화' 별자리 판독 태반이 엉터리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미국 보스턴박물관에 소장된 '고려 치성광불여래왕림도(熾盛光佛如來往臨圖)'라는 고려불화는 14세기 무렵에 제작된 불화이면서 지금까지 그 실물이 대단히 희귀한 고려시대 천문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이와 비슷한 구도를 갖춘 조선 선조 2년(1569)작 불화인 '치성광불여래제성왕림도(熾盛光佛如來諸星往臨圖.일본 교토 고려미술관 소장)'는 여기에 나타난 학계의 기존 별자리 이름 판독 태반이 엉터리임이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고천문사상 전공인 김일권(金一權.3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연구교수가 대한불교천태종 발간 학술지인 「천태학연구」 제4호에 기고한 "고려 치성광불화의 도상 분석과 도불(道佛)교섭적 천문사상 연구'라는 글에서 입증했다.

이들 두 불화는 치성광여래를 한복판에 배치하고 그 주변으로
여러 불보살들을 마치 천문도처럼 각기 고유의 별자리(성수. 星宿) 이름을 부여해 배치한 것으로 고려와 조선시대 천문사상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김씨는 이 논문에서 먼저 고려 '치성광불화'에 나타난 여러 불보살 존상과 그들에게 부여된 별자리 이름이 무엇인지를 처음으로 밝혀냈다.

이 불화는 중앙에 배치되어 북극성으로 신격화된 치성광여래를 중심으로 그 좌우에 해와 달에 대비되는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두었다.

나아가 불화 상단에는 북두칠성 외에 2개 별자리를 더한 북두구진(北斗九辰)과 12달을 상징하는 별자리들인 12궁(宮)을 배치했고 아래쪽으로는 28성수(星宿) 등을 불보살로 형상화해 배열했다.

이와 같은 기본 구도는 조선 선조 때 '치성광불화'로 답습되고 있다.

하지만 두 불화 사이에는 무시할 수 없는 커다란 차이도 존재하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주존에 해당하는 치성광불여래와 그 좌우 협시보살인 일광-월광보살을 제외한 가장 존귀한 신격인 '천황대제'가 조선불화에서는 '옥황대제'(玉皇大帝)로 대치된 사실을 김씨는 주목했다.

그 명칭이 '천황대제'건, '옥황대제'건, 이 둘은 모두 도교의 최고신.

따라서 이 두 불화는 도교적인 색채가 농후하게 침투돼 있음을 엿보이고 있다.

김씨는 이와함께 선조본 치성광불화에 대한 기존 별자리 이름 판독 중 무려 20군데에 이르는 곳에서 오류가 있음을 밝혀냈다.

예컨대 북두칠성에 대비되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 남두육성(南斗六星)의 경우 기존에는 '益天星'(익천성), '上將軍'(상장군) 등이라고 읽었으나 이런 별자리 이름은 그 어디에도 없다. '益算星'(익산성), '上生星'(상생성) 등으로 고쳐야 한다는 것.

김씨는 "이들 두 자료는 불화라는 미술사적, 종교사적 의미 외에 천문도라는 점에서 그것이 갖는 가치는 말할 수 없이 귀중하다"면서 "특히 고려본 불화는 28성수별로 그에 해당하는 동물을 배치한 한국 최초의 자료"라고 말했다. taeshik@yna.co.kr


**28개의 별은 윷놀이와도 관련이 있다.
윷의비밀(북두칠성).http://youtu.be/fAmxRSaBu2s




http://cluster1.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7npq&fldid=Lz2k&datanum=328&contentval=&docid=17npqLz2k32820100929112700

[고려] 현존하는 고려시대 유일천문기록 - 치성광불여래왕림도| 후고려리조선


 (재게시) 현존하는 고려시대 유일천문기록 - 치성광불여래왕림도(보스톤박물관소장 불화)
/일본 교토고려미술관 소장은 조선16세기작품으로 소개문 정정/

치성광불여래에 관한 불화중 가장 중요한 자료이며 고려시대 천문자료가 담겨져있는 '천문성수도天文星宿圖'가 현존한다고 합니다.
물론 국내가 아니라 해외소재하는 유물로서 미국 보스톤박물관소장입니다.
연계되어지는 일본이 보유한 조선 16세기작품은 일본 교토고려미술관 소장입니다.

보스톤박물관소장품의 그림은 없지만 연계된 16세기 선조때 불화를 통해 흐름을 엿볼 수 있습니다.
다만. 보스톤박물관 소장품은 고려시대의 칠성신앙과 함께 고려시대 천문기록의 두가지를 함께 다 살펴볼 수 있는 아주 희귀한 유물이라고 생각되어지므로 사진자료를 구해보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백과사전과 불교언론인 붓다뉴스에 소개된 내용을 그대로 옮겨드립니다.


<< 1. 고려 ‘치성광불여래왕림도(熾盛光佛如來往臨圖)' - 보스톤박물관소장 14세기 >>

고려시대는 활발하게 천문관측을 벌였고 주기적으로 별자리에 제를 올리렸다. 또한 천문관측이나 역법 제작 등이 국가제도 속에 포함되어 왕성하게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거란·몽고·왜구의 침입 등 많은 외침 속에서도 천문관측을 중단하지 않고 하늘을 해석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이처럼 활발한 천문활동을 벌였음에도 불구하고 고려시대의 천문도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천문학자인 오윤부가 천문도를 제작했다고 하나 이마저도 남아 있지 않은 안타까운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별자리와 천문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불화(천문성수도, 天文星宿圖)가 발견되어 천문학계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14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치성광불여래왕림도(熾盛光佛如來往臨圖)’가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현재 미국 보스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는 불화로, 고려시대의 천문사상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치성광여래’는 북극성을 말한다. ‘치성광불여래왕림도’는 북극성인 치성광여래를 한복판에 두고, 그 주변의 보살들에게 각기 별자리 이름을 붙여 배치한 것이다.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면, 치성광여래 양 옆으로 해를 상징하는 일광보살(日光菩薩)과 달을 상징하는 월광보살(月光菩薩)이 있다. 치성광여래는 소가 이끄는 수레에 올라타고 있는데, 이는 인간의 삶이 수레바퀴처럼 돌고 돈다는 불교의 윤회사상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가운데 위치한 치성광여래를 28명의 보살로 표현된 별자리(28宿)가 둘러싸고 있으며, 그 28수는 또 동물과 연관시켜 표현하기도 했다. 그림의 오른쪽 위에는 북두칠성 외에 2개 별자리를 더한 북두구진(北斗九辰)이 한데 모여 있고, 제일 위쪽에는 일년 열두 달을 상징하는 12궁(宮) 별자리가 있다.

여기서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서양의 황도 12궁 별자리가 고려시대의 불화 안에 나타난다는 점이다. 우리는 이 흔적을 통해 서양의 별자리가 고려시대에 전래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치성광불여래왕림도’의 불화에서 고려시대 천문의 흔적은 물론 동서양 교류의 흔적까지 살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불화의 근간은 조선 선조 2년작인 '치성광제성강림도(熾盛光諸星往臨圖)'로 이어지고 있다. 이 선조본에서 특이한 점은 고려본과는 다르게 북두칠성이 머리를 길게 내려뜨린 여인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 2. 조선 ‘치성광여래강림도 - 교토 고려미술관 소장  16세기 >>

홈 > 종합 > 연재 > 불화속의명장면

*  별자리에 담긴 불변의 진리 그린 '치성광여래강림도'

[불화속명장면] (4)日 교토 고려미술관 소장 ‘치성광여래강림도’

밤하늘을 마지막으로 올려다본 것이 언제였을까요? 철야로 켜져 있는 빌딩 숲의 불빛, 네온사인으로 불야성을 이루는 거리거리들. 잠들지 않는 대도시 속에 살며, 우리는 바로 머리 위에 드리운 커다란 하늘의 존재를 잊은 지 오래인 듯 합니다. 하늘의 달빛과 별빛의 청명한 신비로움과는 멀어진 지 오래인 듯 합니다.

여기에 소개하는 ‘치성광여래강림도’는 천상의 모든 별자리를 한 폭의 불화에 가득 옮겨놓은 매우 이채로운 작품입니다. 작품의 주존불인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는 조금은 생소한 명칭의 부처님 같이 느껴지실 겁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친숙한 칠성각에 모셔진 부처님이 바로 치성광여래이고 또 칠성탱화의 주존불이기도 하십니다.


치성광여래강림도 전도


치성광여래의 정체는 바로 하늘의 '북극성'입니다. 북극성은 유일하게 움직이지 않는 부동의 별로, 방위의 지침이 되고 또 무수한 별자리의 기준이 되는 축으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속성을 바탕으로, 더 나아가 북극성은 절대불변의 진리, 우주의 중심 등의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받게 됩니다.

천계의 중심에 대응하는 지상계의 중심으로 천자와 동일시되어, 그 신격화의 유구하고도 다양한 종교적 천문학적 전통이 만들어지기 시작합니다. 특히 불교에서 이 북극성은, 본 작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치성광여래로 신성시되어 숭배됩니다



그림1-1


조선후기 사찰의 거의 전국적 분포를 보이는 칠성각의 또 다른 이름으로 북극전 또는 북극보전(北極寶殿) 등의 현판이 확인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답니다. 본도의 치성광여래 좌우로는 해와 달에 해당하는 일광(日光)보살과 월광(月光)보살, 그 주변으로는 북두칠성에 대응하는 칠성보살, 또 그 주변으로는 오성(五星) 등이 주존을 보좌하며 중심군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또 이 중심군을 한 번 더 외곽에서 둘러 협시하는 것은 28수에 해당하는 28성수신(星宿神, 그림3)입니다. 이 성수신의 머리 위에는 해당 별자리가 그려져 있고, 이들은 도교의 성군(星君)의 복장인 조복에 홀(笏)을 들고 있어, 도교적 성수신앙이 불교와 습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치성광여래가 천공의 모든 다양한 별자리를 거느리고 지상으로 왕림해 내려오는 장면을 포착한 것이기에 ‘치성광여래제성강림도(熾盛光如來諸星降臨圖)’라고도 부릅니다.







그림1-2


작품의 가장 윗부분에는 좌우 6개의 원 안에 12궁(그림1)이 그려져 있습니다. 본래 바빌로니아에 그 기원을 두는 그리스의 황도 12궁체계가 동점되어 중국으로 전파된 것인데, 본래 서양 전래의 별자리 도상이 참으로 긴 세월 동안 그대로 유전되어 중국을 거쳐 결국 조선전기 16세기 작품(1569년)인 본 그림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도상과 그 성립 전거에 있어서의 필연적 상관성과 역사적 유구성의 무게를 느낄 수 있습니다.

본존불의 바로 우측에는 북두칠성의 별자리와 함께 칠성신(보성과 필성을 더해 합 9성, 그림2)이 따로 강조되어 그려져 있습니다. 이 북두칠성의 존재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 쉽게 찾을 수 있어 예로부터 항로나 육로 여행자들의 길잡이와 같은 역할을 했고, 또 그 위치변화는 사계절을 알려주는 지표였습니다. 특히 한국 불교에서는 칠성여래로 신격화되어 생명을 주관하는 신으로서 ‘대중의 길잡이’가 되었습니다.





그림2


본도‘치성광여래강림도’에 나타나는 북두칠성신은 조선전기 어느 시점부터 그 대중적 인기와 더불어 ‘여래형’으로 승격하여, 특히 조선후기에는 칠성불 또는 칠성여래로, 민간과 가장 친근한 부처님 중 한 분으로 대대적으로 유행합니다.

이러한 칠성여래의 강조 현상과 더불어 조금은 부르기 어려운 ‘치성광여래도’라는 명칭에서 ‘칠성탱’으로의 전이가 옵니다. 또 치성광여래와 칠성여래의 신앙적 기능은 충첩되고 서로 보완적 형태를 띠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 치성광여래강림도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불화장르인 칠성탱화의 모태가 되는 귀중한 작품이라는 사실이 드러나게 됩니다.





그림3


<치성광여래소제일체재다라니경>(약칭, 고려대장경 권34-95)에는 ‘별자리의 운행(또는 천체의 운행)에 의해 생겨나는 지상의 일체의 재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제단을 세우고 이 치성광법 다라니를 독송하면 일체의 재난이 소멸된다’라고 쓰여 있어 그 신앙적 기능을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즉 성수의 변화에 의해 지상의 변화가 야기되고, 또 개인 및 국가의 운명이 좌우된다는 ‘운명속성설’ 또는 ‘생명속성설’은, 본래 하늘과 땅이 서로 감응하여 움직인다는 ‘천인감응설’에 그 사상적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하늘의 뜻은 천공의 별들의 운행으로 점쳐지기도 했고, 천재지변 및 자연재해 등은 하늘과 땅을 잇는 군주의 부도덕한 소치로 읽혀지기도 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요.

‘천지가 합일하고 일월이 빛나며/ 사계절이 순서에 따라 찾아오고/ 별들이 운행하고/ 강물이 흐르고/ 만물이 창성하고/ 좋아하고 싫어함에 절도가 있고/ 즐거움과 성냄이 합당함을 얻게 되고/ 그리하여 백성된 사람은 순종하고/ 왕이 된 사람은 명철해 진다.’

사마천의 사기 <예서>의 한 구절은 이 천인감응설을 매우 유려하고도 명료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문구의 앞에는, 말하자면, ‘體(내용ㆍ본질)와 用(형식ㆍ수식)을 겸비한 예(禮)가 갖추어 지면’이라는 전제가 있습니다.

즉, 지상의 예제(풍속과 제도)가 사람들의 보편적 정서와 하늘의 뜻에 부합하여 잘 운영되었을 때 저절로 얻어지는 지상의 아름다운 평화를 읊은 것입니다. 고전들을 살펴보면 옛 사람들은 현대인보다 하늘에 훨씬 더 가까웠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자연에 덜 오만하고, 천체의 운행에 다시 한번 하늘의 뜻을 가늠하고, 또 자신을 돌아보고 겸손해지는 기회를 가졌던 것은 아닐까요?

특히 조선후기에는 다양한 별자리신 중에서도 가장 민간에 친숙했던 칠성여래가, 그 많은 신앙적 기능 중에서도 생명을 주관하는 ‘수명 연장의 신’으로서의 기능이 강조되어 숭배되어 졌습니다. 여기 소개한 치성광여래강림도는 우리에게 친숙한 칠성탱의 연원적 유래를 보이는 작품입니다. 칠성탱은 반드시 치성광여래를 주존으로 하기 때문에, 그 정식 학술적 명칭은 치성광여래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지요.

오늘날에도 이 칠성각에서 기도되는 수많은 염원들, 지병을 낫게 해달라는, 건강하게 오래 살게 해달라는, 아이를 점지해 달라는, 재난을 소멸케 해달라는, 공부에 진보가 있게 해달라는, 제짝을 만나게 해달라는 등의 이 지상의 갖가지 간절한 소원들이, 불화 속에 왕림한 별자리 부처님을 통해 하늘에 가 닿기를 기원해봅니다.

불교계 대표언론 HBMC 붓다뉴스

강소연 | 홍익대학교 겸임교수

2006-02-28 오전 11:17:00

칼럼을 쓴 강소연박사란 분은 동양미술사와 불교미술사를 전공하였군요.


<자료출처>

* 다음 문화원형 백과사전
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_content.asp?dirView=no&Dictionary_Id=10015347&query=%B0%ED%B7%C1%A1%AE%C4%A1%BC%BA%B1%A4%BA%D2%BF%A9%B7%A1%BF%D5%B8%B2%B5%B5'

* HBMC붓다뉴스 (HMBC 커뮤니티 카페 - 강소연 박사의 ‘불화속의 명장면’ )
http://news.buddhapia.com/news/BNC000/BNC0009482.html
http://cafe.buddhapia.com/community/ksy/

인도 측에 남아있는 신화(神話)에는 ‘북두칠성’을 낳은 여신의 이름이 ‘가우리(Gauri)’라고 칭하고, 그 남편을 ‘바루나(Varuna)’라고 하는데, 이는 사법(司法)을 관장하는 신(神)인데, ‘북극성’에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이 ‘가우리’ 여신이 7아들을 낳은 것이 북두칠성이고 이를 인도에서는 리쉬(Rishi: 성선(聖仙))이라고 합니다. 

고구리(高句麗), 혹은 고리(高麗)를 중국 사람들은 ‘가우리’로 발음하는 것은, ‘북두칠성을 낳은 여신’의 이름과 연계(連繫)되어서 발음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좌계는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북두칠성은 배달화백의 상징으로써 아시아(Asia)에 포괄적으로 내려오고 있습니다. 

이런 면에서 ‘솟대 님’께서 올려주신 이 탱화는 우리의 - 크게 보면 아시아 전체의 - 정신세계를 음미하게하는 대단히 중요한 자료입니다. 
고마 와 같습니다.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2&cp_code=cp0302&index_id=cp03020008&content_id=cp030200080001&search_left_menu=





Previous
Next Po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