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두칠성 별관련 정보들. 큼곰자리 Ursa Major 여러가지 정보들


북두칠성의 여러 이름과 관장하는 일

한 국
서양
도교(道敎)
불교(佛敎)
관장하는 일
제1성
천추성(天樞星)
α(알파)별 두베
(Dubhe)
탐랑성(貪狼星)
운의통증여래
(雲義通證如來)
자손에 만 가지 덕과 복을 줌
제2성
천선성(天璇星)
β(베타)별 메라크
(Merak)
거문성(巨門星)
광음자재여래
(光音自在如來)
장애와 재난을 없앰
제3성
천기성(天機星)
γ(감마)별 페크다
(Phecda)
녹존성(祿存星)
금색성취여래
(金色成就如來)
일체 업장 소멸
제4성
천권성(天權星)
δ(델타)별 메그레즈
(Megrez)
문곡성(文曲星)
최승길상여래
(最勝吉祥如來)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함
제5성
옥형성(玉衡星)
ε(입실론)별 알리오츠
(Alioth)
염정성(廉貞星)
광달지변여래
(光達地邊如來)
백가지 장애를 없앰
제6성
개양성(開陽星)
ζ(제타)별 미자르
(Mizar)
무곡성(無曲星)
법해유희여래
(法海遊戱如來)
복덕
제7성
요광성(搖光星)
η(이타)별 알카이드
(Alkaid)
파군성(破軍星)
약사유리여래
(藥師瑠璃如來)
수명. 질병. 건강


https://ko.wikipedia.org/wiki/%ED%81%B0%EA%B3%B0%EC%9E%90%EB%A6%AC

  • 인도 신화에서는 일곱 개의 별은 일곱 현자로 여겨지며, 별자리는 'Saptarshi Mandalam'으로 불린다.
  • 알리오스(Alioth), 미자르(Mizar), 알카이드(Alkaid)의 세 별은 그들의 어미를 따르는 새끼 또는 세 명의 사냥꾼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 이로쿼이 미국 원주민은 알리오스, 미자르, 알카이드의 세 별을 큰 곰을 쫓는 사냥꾼으로 해석하였다. 이들의 한 신화에 의하면, 첫 번째 사냥꾼(알리오스)는 활과 화살을 들고 곰을 때려눕히려 하고, 두 번째 사냥꾼(미자르)은 어깨에 곰을 요리할 큰 그릇을 갖고 있다. 세 번째 사냥꾼(알카이드)은 그릇에 불을 지필 장작을 나른다.


https://en.wikipedia.org/wiki/Eta_Ursae_Majoris

Alkaid is the most eastern (leftmost) star in the Big Dipper (Plough) asterism.
it is the third brightest star in the constellation and one of the brightest stars in the night sky.


https://en.wikipedia.org/wiki/Ursa_Major

 Latin for "the greater (or larger) she-bear", stands as a reference to and in direct contrast with Ursa Minor, "the smaller she-bear", with which it is frequently associated in mythology and amateur astronomy


Little Dipper 
소북두칠성 ((작은곰자리의 7개 별))









η별
- 이름 : 알카이드(Alkaid)
- 거리 : 100.69774622 ± 2.30059686
- 등성 : 1.85
이 별의 다른 이름으로는 베네트나쉬(Benetnash), 엘케이드(Elkeid)가 있으며 이 이름들은 아라비아어의 Al Ka"id Banat al Na"ash에서 온 이름으로 "관을 끄는 딸들의 우두머리"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파란색의 알카이드(Alkaid)는 직경이 태양의 두배이고 태양보다 약 4300배의 빛을 낸다고 합니다

 α별
- 이름: 두베(Dubhe) 
- 거리 : 123.6 ± 2.5
- 등성 : 1.81
이 별의 이름은 아라비아어의 Thahr al Dubb al Akbar에서 온 말로 "큰곰의 등"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오렌지색의 이 별은 직경이 태양의 16배이고 질량은 4배라고 합니다.







북두칠성 北斗七星 탐랑성, 문곡성,거문성, 녹존성, 염정성, 무곡성, 파군성,


 국자 손잡이 부분 부터 7개의 칠성이 진행된다.
1.대괴탐랑 2.거문(미자르) 3.녹존 4.문곡 5.염정 6.무곡 7.파군

칠성신(七星神) : 북두칠성의 일곱 성을 인격화한 신 

1) 탐랑성 : 괴(魁)의 첫 번째 별로 정성(正星)이라고 하니, 하늘이 된다. 주로 양의 덕을 맡으며 천자의 상이다. 이 별은 하늘의 으뜸이 되는 법도를 정한다. 생명의 근원인 물이 생하므로 생기성(生氣星)이라고 한다. 하늘의 축이라 하여 천추성이라고도 한다.


2) 거문성 : 법성(法星)이라고 하니, 땅이 된다. 주로 음적인 일과 형벌을 주관하고 황후의 상이다. 설날에 복주머니를 차고 다니고 복조리를 돌리는 풍습은 이 별과 연관이 있다. 천선성이라고도 한다.

3) 녹존성 : 영성(令星)이라고 하니, 재난과 해침을 맡는다. 사람이 되고 오행으로는 화(火)를 맡는다. 이 별은 인간이 성취하는 만큼 상대적으로 화(禍)와 해(害)도 함께 받게 하는 별이다. 천기성이라고 하며 천선성과 함께 천체의 위치를 재는 천체의를 이룬다.

4) 문곡성 : 벌성(伐星)이라고 하니, 하늘의 이법으로 무도한 것을 치는 일은 한다. 때(時)가 되고 수(水)를 맡는다. 하늘의 모든 권리를 한 손에 거머쥔 별이다. 하늘의 저울추인 천권성이라고도 한다.

5) 염정성 : 살성(殺星)이라고 하니, 중앙을 맡아서 사방을 도우며 죄 있는 자를 죽이는 일을 한다. 음(陰)이 되고 토(土)를 주관한다. 북두칠성의 중심을 잡아 주는 별이다. 옥형성이라고도 한다. 

6) 무곡성 : 위성(危星)이라고 하니, 하늘의 오곡을 저장하는 창고이다. 율(律)이 되고 목(木)을 주관한다. 무곡성은 일곱별 중에서 가장 위력적인 별이다. 인간의 수명을 연장하는 길성이다. 「옥추경」에서는 이 별을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이라고 한다. 양기를 열어준다는 뜻의 개양성이라고도 한다. 

7) 파군성 : 응성(應星)이라고 하니, 병사에 관한 일을 맡는다. 성(星)이 되고 금(金)을 주관한다. 천기의 출입을 관장하는 별이다. 빛을 반짝인다는 뜻의 요광성이라고도 한다.


우리가 알고있는 북두칠성은 위에 열거한 일곱별을 말한다. 그런데 증산도의 주문(呪文) 중 하나인 <칠성경七星經>을 보면 ‘북두구진(北斗九辰)’이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구진(九辰)이라면 아홉 개의 별이라는 말이다. 칠성보다 두 개의 별이 많다. 그 까닭은 이렇다.

북두칠성의 제6 무곡성 주변에 별 두 개가 더 있다. 『천문유초』에서는 무곡성 바로 옆에 있는 별은 내필성(內弼星)이라 하고 그 보다 좀 떨어져 있는 별은 외보성(外輔星)이라 명명하고 있다. 아랍에서는 병사의 시력을 검사할 때 보성을 사용했다고 한다. 보성은 동서양에 널리 알려진 별이다. 내필성은 서양에서도 망원경이 발달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고 하는데 동양의 도교와 기문학에서는 일찍부터 알려졌던 별이다. 그러면 이 두 별의 기능과 의미는 어떻게 생각되었을까? 외보성과 내필성은 그 명칭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칠성의 일이 성공하도록 보필하는 대신(大臣) 즉 승상(丞相)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겼다. 



북두의 별 - 별자리 - 별자리의 의미  

북두칠성(北斗七星)

고구려 고분 벽화들을 유심히 보면 자주 등장하는 그림이 하나 있다. 바로 북두칠성 그림이다. 왜 죽은 사람의 묘마다 빠지지 않고 북두칠성을 그려 넣은 것일까? 고구려 사람들에게 있어서 북두칠성은 ‘時間의 神’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북두칠성은 7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섯 번째 별을 무곡성(武曲星)이라고 하고, 마지막 일곱 번째 별은 파군성(破軍星)이다.
여섯 번째 무곡성과 일곱 번째 파군성을 선으로 연결하면 국자의 손잡이 형태가 된다. 이 손잡이 부분을 보통 두병(斗柄)이라고 하는데, 고천문학자들은 시침(時針)이라는 용어로 부른다. 우주의 시곗바늘이라는 뜻이다. 음력에서 말하는 1년 열두 달은 이 시침이 어느 방향을 가리키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1월을 알리는 절기는 ‘입춘’이다. 옛날 사람들은 입춘이 되는 날 저녁 술시(저녁 7~9시) 무렵에 밤하늘에서 두병(시침)이 가리키는 방향이 어느 쪽인가를 관찰하였다. 별자리는 술시에 관찰해야 한다.
입춘날 술시(戌時)에 두병이 가리키는 방향은 정확하게 인방(寅方)이다. 나침반에서 인방은 북동쪽이다. 인(寅)은 십이지(十二支) 가운데 1월에 해당한다. ‘경칩’이 되는 날 술시에 두병이 가리키는 방향은 동쪽인 묘방(卯方)이다. 묘는 2월에 해당한다. ‘청명’이 되는 날 술시에 두병이 가리키는 방향은 진방(辰方)이다. 진은 3월이다. 북두칠성은 하늘에 매달려 있는 거대한 시계이자 달력이었던 셈이다.
고구려인들은 북두칠성이 우주시(宇宙時)를 가리킨다고 믿었다. 우주시가 몇 시냐에 따라 인간시(人間時)가 정해지는 법이다. 북두칠성은 우주와 인간의 스케줄을 관장하는 시간의 신으로 생각하였다. 죽음이라는 것은 인간의 시간이 끝났다는 의미이고, 다시 새로운 시간을 부여받기 위해서는 우주의 시계인 칠성으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죽음을 ‘돌아가셨다’는 말로 표현하였다. 명이 짧은 사람은 칠성기도를 드리고, 사람이 죽으면 ‘칠성판’ 위에 올려놓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러시아에서 발생한 테러를 보면서 왜 인간은 이처럼 참혹하게 죽어야 한단 말인가 하는 의문이 맴돈다. 원래 왔던 곳으로 다시 되돌아간 것이라고 위로해 보는 수밖에 없다.



 

참고: 인터넷 검색자료
북쪽하늘에 있는 큰곰자리를 이루고 있는 별들 중에 
α(알파)별, β(베타)별, γ(감마)별, δ(델타)별, ε(입실론)별, ζ(제타)별, η(이타)별이 이루는 별자리를 특별히 "북두칠성"이라고 합니다. 
북두칠성의 각각의 별에도 이름이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α별
- 이름: 두베(Dubhe) 
- 거리 : 123.6 ± 2.5
- 등성 : 1.81
이 별의 이름은 아라비아어의 Thahr al Dubb al Akbar에서 온 말로 "큰곰의 등"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오렌지색의 이 별은 직경이 태양의 16배이고 질량은 4배라고 합니다.

β별
- 이름 : 메라크(Merak)
- 거리 : 79.4 ± 1.2
- 등성 : 2.34 
메라크(Merak)는 아라비아어의 Al Marakk에서 온 말로 "허리"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얀색의 메라크는 직경이 태양의 두배 이상이며 태양보다 거의 60배의 빛을 낸다고 합니다.

γ별
- 이름 : 페크다(Phecda)
- 거리 : 83.7 ± 1.5
- 등성 : 2.41
이 별의 다른 이름으로는 파드(Phad), 페크다(Phekda), 페그다(Phegda), 페크하(Phekha), 파크드(Phacd)등이 있으며 이 이름들은 아라비아어의 Al Falidh에서 온 말로 "허벅지"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얀색의 페크다(Phecda)는 직경이 태양의 약 2.5배이며 태양보다 약 60배의 빛을 낸다고 합니다.

δ별
- 이름 : 메그레즈(Megrez)
- 거리 : 81.4 ± 1.2
- 등성 : 3.32
메그레즈(Megrez)는 아라비아어의 Al Maghrez에서 온 이름으로 "꼬리의 근원"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얀색의 메그레즈는 직경이 태양의 두배이며 태양보다 약 25배의 빛을 낸다고 합니다.

ε별
- 이름 : 알리오츠(Alioth)
- 거리 : 80.9 ± 1.2
- 등성 : 1.76
이 별은 "동쪽 양의 살찐 꼬리"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직경은 태양의 약 4배라고 합니다.

ζ별
- 이름 : 미자르(Mizar)
- 거리 : 78.2 ± 1.1
- 등성 : 2.23
이 별의 다른 이름으로는 미자트(Mizat), 미르자(Mirza)등이 있으며 아라비아어의 Mi"zar에서 온 말로 "허리띠"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얀색의 미자르(Mizar)는 태양보다 약 63배의 빛을 낸다고 합니다.

η별
- 이름 : 알카이드(Alkaid)
- 거리 : 100.69774622 ± 2.30059686
- 등성 : 1.85
이 별의 다른 이름으로는 베네트나쉬(Benetnash), 엘케이드(Elkeid)가 있으며 이 이름들은 아라비아어의 Al Ka"id Banat al Na"ash에서 온 이름으로 "관을 끄는 딸들의 우두머리"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파란색의 알카이드(Alkaid)는 직경이 태양의 두배이고 태양보다 약 4300배의 빛을 낸다고 합니다

참고로 
한국과 중국에서는 북두칠성 국자의 머리부터 차례로 

천추성(
天樞星)
천선성(
天璇星)
천기성(
天璣星)
천권성(
天權星)
옥형성(
玉衡星)
개양성(
開陽星)
요광성(
搖光星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Previous
Next Post »